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초코레
해시법 본문
- 검색과 데이터의 추가와 삭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 키 값을 해시 값으로 만드는 과정을 해시 함수(hash function)라고 한다.
- 해시 값(hash value)은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인덱스
- 해시 값이 인덱스가 되도록 원래의 키 값을 저장한 배열이 해시 테이블(hash table)
- 해시 테이블의 각 요소를 버킷(bucket)이라고 한다.
- 키 값과 해시 값은 반드시 1 대 1로 대응되지 않는다. 저장할 버킷이 중복되는 현상을 충돌(collision)이라고 한다.
- 해시 함수는 가능하면 해시 값이 치우치지 않도록 고르게 분포된 값을 만들어야 한다.
- 충돌이 발생할 경우 체인법과 오픈 주소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체인법(chaining)
- 같은 해시 값을 같는 데이터들을 사슬(chain) 모양으로 연결 리스트에서 연결하는 방법
- 오픈 해시법(open hashing)이라고도 한다.
- 해시 테이블의 각 버킷에 저장하는 값은 같은 해시 값을 갖는 노드를 연결한 리스트의 첫 번째 노드에 대한 참조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체인법에 의한 해시
public class ChainHash<K, V> {
//해시를 구성하는 노드(개별 버킷)
class Node<K, V> {
private K key; //키 값
private V data; //데이터
private Node<K, V> next; //다음 노드에 대한 참조
Node(K key, V data, Node<K, V> next) {
this.key = key;
this.data = data;
this.next = next;
}
//키 값을 반환
K getKey() {
return key;
}
//데이터를 반환
V getValue() {
return data;
}
//키의 해시 값을 반환
public int hashCode() {
return key.hashCode();
}
}
private int size; //해시 테이블의 크기
private Node<K, V>[] table; //해시 테이블
public ChainHash(int capacity) {
try {
table = new Node[capacity];
this.size = capacity;
} catch (OutOfMemoryError e) {
this.size = 0;
}
}
//해시 값을 구한다(해시 함수)
public int hashValue(Object key) {
return key.hashCode() % size;
}
//키 값으로 요소 검색(데이터를 반환)
public V search(K key) {
int hash = hashValue(key); //키 값에 대한 해시 값을 구함
Node<K, V> p = table[hash]; //해시 값을 인덱스로하는 버킷
while (p != null) {
if (p.getKey().equals(key)) {
return p.getValue();
}
p = p.next;
}
return null;
}
//요소 추가
public int add(K key, V data) {
int hash = hashValue(key); //키 값에 대한 해시 값을 구함
Node<K, V> p = table[hash]; //해시 값을 인덱스로하는 버킷
while (p != null) {
if (p.getKey().equals(key)) { //이미 등록되어 있는 키값
return 1;
}
p = p.next;
}
//리스트의 맨 앞에 노드 삽입
Node<K, V> temp = new Node<K, V>(key, data, table[hash]);
table[hash] = temp;
return 0;
}
//요소 삭제
public int remove(K key) {
int hash = hashValue(key); //해시 값
Node<K, V> p = table[hash]; //버킷
Node<K, V> pp = null; //바로 앞의 선택 노드
while (p != null) {
if (p.getKey().equals(key)) {
if (pp == null) { //연결 리스트의 맨 앞이라면
table[hash] = p.next;
} else {
pp.next = p.next;
}
return 0;
}
pp = p;
p = p.next; //다음 노드를 가리킨다
}
return 1;
}
//해시 테이블의 모든 요소를 출력
public void dump() {
for (int i = 0; i < size; i++) {
Node<K, V> p = table[i];
System.out.printf("%02d ", i);
while (p != null) {
System.out.printf("→ %s (%s) ", p.getKey(), p.getValue());
p = p.next;
}
System.out.println();
}
}
}
|
cs |
오픈 주소법(open addressing)
- 충돌이 발생했을 때 재해시(rehashing)를 수행하여 비어 있는 버킷을 찾아내는 방법
- 닫힌 해시법(closed hashing)이라고도 한다.
- 재해시할 때 해시 메서드는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 빈 버킷을 만날 때까지 재해시를 여러 번 반복하므로 선형 탐사법(linear probing)이라고도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오픈 주소법에 의한 해시 public class OpenHash<K, V> { //버킷의 상태 enum Status {OCCUPIED, EMPTY, DELETED}; //데이터 저장, 비어 있음, 삭제 마침 //버킷 static class Bucket<K, V> { private K key; //키 값 private V data; //데이터 private Status stat; //상태 Bucket() { stat = Status.EMPTY; } void set(K key, V data, Status stat) { this.key = key; this.data = data; this.stat = stat; } //상태 설정 void setStat(Status stat) { this.stat = stat; } //키 값 반환 K getKey() { return key; } //데이터 반환 V getValue() { return data; } //키의 해시 값을 반환 public int hashCode() { return key.hashCode(); } } private int size; //해시 테이블의 크기 private Bucket<K, V>[] table; //해시 테이블 public OpenHash(int size) { try { table = new Bucket[size]; this.size = size; for (int i = 0; i < size; i++) { table[i] = new Bucket<K, V>(); } } catch (OutOfMemoryError e) { this.size = 0; } } //해시 값을 구한다(해시 함수) public int hashValue(Object key) { return key.hashCode() % size; } //재해시 값을 구한다 public int rehashValue(int hash) { return (hash + 1) % size; } //키 값 key를 갖는 버킷의 검색 private Bucket<K, V> searchNode(K key) { int hash = hashValue(key); //해시 값 Bucket<K, V> p = table[hash]; //버킷 for (int i = 0; p.stat != Status.EMPTY && i < size; i++) { if (p.stat == Status.OCCUPIED && p.getKey().equals(key)) { return p; } hash = rehashValue(hash); //재해시 p = table[hash]; //버킷 } return null; } //요소 검색(데이터 반환) public V search(K key) { Bucket<K, V> p =searchNode(key); if (p != null) { return p.getValue(); } return null; } //요소 추가 public int add(K key, V data) { if (search(key) != null) { //이미 등록되어 있음 return 1; } int hash = hashValue(key); //해시 값 Bucket<K, V> p = table[hash]; //버킷 for (int i = 0; i < size; i++) { if (p.stat == Status.EMPTY || p.stat == Status.DELETED) { p.set(key, data, Status.OCCUPIED); return 0; } hash = rehashValue(hash); //재해시 p = table[hash]; //버킷 } return 2; //해시 테이블이 가득 참 } //요소 삭제 public int remove(K key) { Bucket<K, V> p = searchNode(key); //선택 버킷 if (p == null) { //등록되어 있지 않음 return 1; } p.setStat(Status.DELETED); return 0; } //해시 테이블의 모든 요소를 출력 public void dump() { for (int i = 0; i < size; i++) { System.out.printf("%02 ", i); switch (table[i].stat) { case OCCUPIED: System.out.printf("%s (%s)\n", table[i].getKey(), table[i].getValue()); break; case EMPTY: System.out.println("-- 미등록 --"); break; case DELETED: System.out.println("-- 삭제 마침 --"); break; } } } } | cs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진검색트리 (0) | 2020.01.05 |
---|---|
원형 이중 연결 리스트 (0) | 2020.01.03 |
커서로 연결 리스트 만들기 (0) | 2020.01.03 |
포인터로 연결 리스트 만들기 (0) | 2020.01.02 |
Boyer-Moore법 (0) | 2020.01.01 |